목록개인 공부/JavaScript (3)
지 구 여 행
─ for ~ in : 변수가 가리키는 객체의 key값을 가져오는 반복문 var coworkers = { "programmer":"Cosmos", "designer":"Union" } (생략) for(var key in coworkers) { document.write(key + ' : ' + coworkers[key] + ' ');} (/script) 출력값 : programmer:Cosmos designer:Union ─ 메서드(method) : 객체에 소속된 함수 프로퍼티(property) : 객체에 소속된 변수 ─ 프로퍼티와 프로퍼티를 구분하기 위해서 콤마(,) 사용
객체(Object) ─ 정리 정돈을 위한 폴더 또는 디렉토리 순서없이 저장할 수 있는 정보(중괄호 사용) 배열; 순서에 따라 정보를 저장하는 '그릇' (대괄호 사용) 랜덤으로 저장되는 것이 아닌, 이름표를 붙여 저장하는 방식 ─ 객체 리터럴(Object Literal) : 객체를 만들 때 사용하는 기호 ─ 객체에 정보를 담는 방법 : ─ 객체에서 정보 가져오는 방법 : 출력값 : Programmer:Cosmos ─ (이미 생성된) 객체에 정보를 추가하는 방법 : ─ 이름표에 공백이 있는 경우 : 대괄호 []를 써서 문자열 형태로 추가

함수(function) ─ 수학적으로 표현했을 때 f(x)=ax+b는 '함수' / x=2에서 x는 매개변수(parameter), 2는 인자(argument) y=f(x) 일때, y는 출력값(Return값) ─ 리턴값은 함수를 호출한 부분으로 데이터를 전달해주기 위해서 사용 예) b=f(10) return 값 없을 경우, print(b)는 none을 출력; return 값 있을 경우, print(b)는 10을 출력 ─ 아래 예제는 전부 1232312341234 로 동일한 값을 세로로 출력 함수는 또 다른 함수도 포함할 수 있다.